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ost
- Real MySQL
- 2020년 일정
- 성적프로그램
- 2020년 제4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문제 분석
- 정보처리기사
- algorithms
- 책리뷰
- 미니프로젝트
- 스터디
- 회고
- 필기
- 서평
- 알고리즘
- 뇌정리
- hackerrank
- java
- 항해99
- 2020년 정보처리기사 4회
- Til
- Jackson
- 주간회고
- 코드숨
- If
- sqldeveloper
- Python
- jsp
- 함수형 코딩
- LeetCode
- git
- Today
- Total
목록공부 방향 설계 (10)
조컴퓨터

TDD Circle 1. Test Fails 2. Test Passes 3. Refactoring 내 경우에는 1번과 2번을 진행하고, 3번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박재성 님께서도 3번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콕 집어 설명하셨다. - 리팩토링 연습 - 메서드 분리 테스트 코드는 변경하지 말고, 테스트 대상 코드(프로덕션 코드) 를 개선하는 연습에 집중한다. - 예를 들어, else 와 indent 를 줄이는 연습이 이에 해당한다. 이것은 의식적인 연습 7가지 원칙 중 2가지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두 번째, 개인의 컴포트존을 벗어난 지점에서 진행, 자신의 현재 능력을 살짝 넘어가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시도 세 번째,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진행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 둘 다 이것..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개발한 Karel 이라는 게임을 알게 되어 해보았다. 비교적 간단하다. Karel(디지바이스 같은 아이) 가 정답에서 표기하는 위치에 존재하면 되는 게임이다. 8-5 에서 요구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Karel 이 Beeper 를 놓는 방향으로만 로직을 짜다가 마지막 위치가 계속 왼쪽 끝에 놓이길래 그제서야 깨달았다. 그래프(게임판) 자체가 짝*짝이라 Karel 이 앞만 보면 안된다는 것을... 뒤로 후퇴도 해야한다는 것을... 그래서 한번 전진했다가 뒤로 후퇴하고 다시 전진했다가 뒤로 후퇴하는 로직으로 다시 작성했다. //Make Karel fill the world //with beepers function main() { //your code here putBeeperLine(..

파이썬을 기반으로 한 기본적인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내용을 완주했다. 자료구조 - 배열(Array), 큐(Queue), 스택(Stack),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 해쉬 테이블(Hash Table) - 트리(Tree),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 힙(Heap) 알고리즘 - 정렬 -- 버블 정렬, 선택 정렬, 삽입 정렬, 병합 정렬, 퀵 정렬 - 재귀 호출, 동적 계획법, 분할 정복, 탐욕 알고리즘, 백트래킹 - 탐색 -- 순차 탐색, 이진 탐색 - 그래프 -- 너비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 -- 최단 경로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 최소 신장 트리 알고리즘 --- 크루스칼 알고리즘, 프림 알고리즘 완강을 하면서 여러 위기가 있었다. 이진 탐색 트리,..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자바편을 구매했다. 해당 책을 12일까지 떼고 올 예정... 4일 저녁부터 보기 시작.
급한 일이 생겨 leetcode 알고리즘 잠시 쉬어갑니다. 3일 동안 CISCO 네트워크 공부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블로그에 정리해야 할 내용이 생기면 해당 내용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일단 계획된 것 1. WW서버 + CDN서버 + Window서버(공인IP) WW서버, CDN서버는 사설IP 통신으로만 구성, 해당 통신 구조가 문제인데 WW서버 - CDN서버 / WW서버 - Window서버(공인IP) CDN서버 - WW서버 / CDN서버 - Window서버(공인IP) 여기서 의문인 점은 WW서버는 CDN서버를 바라보는게 맞는데, WW서버는 CDN서버의 접근을 가능하게 해야 하는 건가? 여기도 양방향으로 해야 하나? 그럼 결국에는 CDN서버는 일방향 통신으로 만들어 보는게 맞나? WW서버 내용 확인하는 거랑 CDN서버 이미지 내용 확인하는 거 이렇게 두 가지니까 일방향으로 구성하는 게 맞나? 뇌가 아픈... 2. OAuth + JWT 로그인 세션 구현 이건 아직 모르겠다. 이번주에 CDN..

1. 알고리즘 - 알고리즘은 리트코드로 매일 1문제씩 진행한다. 2. 포트폴리오 - Java를 기반으로 하는 Web Service 제작 - 사용할 기술 스텍 정의 및 정리(블로그) - 백엔드 개발자 로드맵을 기반으로 기술 스텍 공부 3. 기술 블로그 - 이 블로그 활성화 내년 초까지 만들어 보고 싶은 것이 생겼다. 이를 만들기 위한 밑작업을 11월까지는 끝낼 생각이고, 11월 중순부터는 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아이디어는 시안 작업 중에 있다. 잘 만들어서 서비스를 직접 해보려고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어느 정도 익숙해졌으니 시도해 볼 때가 된 듯 하다. 재밌게 하자. 인생 길다. 항상 다짐한다. +) 이와 동시에 등산을 열심히 할 예정이다. 한라산도 다녀와야지...

2월 18일 이후로 포스팅이 없었다. 취직을 했기 때문인데, 네이버 클라우드 관련 업체에 취직해서 근무 중이다. 상반기는 자격증 준비에 많이 바빴다. 4월에는 NAVER Cloud Platform Certified Associate, 정보처리기사 실기 두 가지를 취득했고, 6월에는 NAVER Cloud Platform Certified Professional 한 가지를 취득했다. 실질적으로 취득한 자격증 갯수는 많지 않다. 연말까지는 CKA 정도만 취득 예정중이다. 중간 사담인데... 6월 이후로는 뭘 한건지 생각이 안난다. 그냥 하루하루 살아남기에 급급했다. 목표를 명확히 하자는 게 내 모토인데, 정신이 없었다. 아니 솔직히 지금도 정신이 없다. 네트워크 분야를 처음 접해본 나는 업무를 쫓기에도 벅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