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it
- 2020년 정보처리기사 4회
- 서평
- LeetCode
- 책리뷰
- 회고
- 알고리즘
- 스터디
- Jackson
- post
- jsp
- Real MySQL
- 미니프로젝트
- 주간회고
- java
- 함수형 코딩
- 코드숨
- algorithms
- 정보처리기사
- hackerrank
- 뇌정리
- sqldeveloper
- Til
- If
- 항해99
- 필기
- 2020년 일정
- Python
- 성적프로그램
- 2020년 제4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문제 분석
- Today
- Total
목록책리뷰 (5)
조컴퓨터

2023년 12월 13일부터 읽기 시작하여 2024년 1월 24일에 마무리 함 사실, 이번 스터디에는 절반 정도만 참여했고, 나머지는 책을 혼자 읽는 시간으로 보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의견을 많이 듣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저자가 남긴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몰랐던 내용들을 알게 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HTTP/2 의 사용에 집중하다 보니, HTTP 의 역사에 대해서는 깊이 탐구해보지 못했습니다. 이번 스터디를 통해 HTTP 의 발전 과정을 알아가는 것은 흥미로운 경험이었습니다. 초창기 HTTP는 텍스트 기반의 통신 방식이었습니다. 이에 대한 보안 문제가 심각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예상대로 보안 취약점이 드러나면서 암호화된 헤더와 바디 기반 통신으로의 전환되었습니다. HTTP/2 시대에 개발..

2023년 6월 20일부터 읽기 시작하여 9월 5일에 마무리 함 프로그래밍 심리학은 1971년에 출판된 고전 중 하나이다. "프로그래밍에서도 심리학이 적용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으로 시작해 읽기 시작한 책이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프로그래밍에 접근하게 되면 어떤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까? 1971년부터 현재까지 컴퓨터는 끊임없이 발전해왔다. 그럼에도 이 책은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이 책에서는 프로그래머의 마인드셋, 습관, 그리고 행동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마주치게 되는 다양한 문제들과 그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프로그래머의 생각하는 방식과 그것이 어떻게 효과적인 코드 작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이 책..

2023년 8월 20일에 읽기 시작하여 8월 27일에 마무리함. 개인적으로 길벗출판사의 `그림으로 이해하는` 시리즈는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책의 디자인은 귀여우며, 컴팩트한 사이즈로 휴대성이 뛰어납니다. 무엇보다도, 이 시리즈는 네트워크나 클라우드 같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주제를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이러한 특징은 이 시리즈의 책이 지식을 확장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게 만듭니다. 즉, 이 책은 독자에게 `이 주제를 더 깊게 탐구하고 싶다` 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특히 네트워크의 기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와줍니다.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와 기술을 그림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실질적인 이해에 중점을 둡니다. 이런 방식은 독자가 어려운 개념을 ..

2023년 7월 3일에 시작하여 8월 14일에 마무리 함 이 책은 SQL 을 중점으로 두지 않고 말그대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본질적인 이야기를 다룬다. SQL 의 기술을 배우기엔 어려운 책임이 자명하다. 이 책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시작한다. 관계형 모델은 집합론을 기반으로 한다는 사실과 관계형 모델을 표현하는 수단으로는 술어논리가 사용된다는 사실 또한 이 책을 통해 배웠다. 따라서 관계형 데이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계형 모델을 잘 알아야 한다. DB 설계에서 정규화와 직교성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도 있었다. 골자는 중복을 제거한 RDB 를 사용해야 본래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 책을 통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이런 형식으로 생각해야 하는 거구나를 배웠..

2023년 5월 8일에 시작해서 6월 19일에 마무리 함. 책을 끝까지 읽고 회고를 하는 시점에서 책 제목을 살펴보니 책 제목을 잘 정했다는 생각이 든다. 책 제목에 책 내용 전문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말 그대로 이 책은 `웹 개발자를 위한 대규모 서비스를 지탱하는 기술` 의 내용을 담고 있다. 엔터프라이즈와 웹 서비스에 대한 비교를 시작으로 과거 하테나가 어떤 기술을 사용하여 소규모 서비스에서 대규모 서비스까지 진화해 나아갔는지 변천사를 보여주고 있다. 운영 체제를 시작으로 컴퓨터의 동작 원리, DB 분산에 대한 내용, 알고리즘을 시스템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DB 로 처리가 안되는 검색엔진의 직접 구현, 세세한 인프라 설계 지식까지 많은 내용을 최대한 자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 주어 많은 도움이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