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주간회고
- 회고
- 정보처리기사
- 미니프로젝트
- 필기
- 2020년 제4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문제 분석
- Python
- 코드숨
- sqldeveloper
- 뇌정리
- post
- hackerrank
- 함수형 코딩
- 스터디
- 책리뷰
- 알고리즘
- 서평
- LeetCode
- 2020년 일정
- jsp
- 2020년 정보처리기사 4회
- java
- 성적프로그램
- algorithms
- 항해99
- If
- Real MySQL
- git
- Til
- Jackson
- Today
- Total
목록TIL (28)
조컴퓨터
1. real MySQL 11장 완료 - group by 인덱스 최적화 (where 구문에 index 를 건 다음에 group by 구문에 index 를 거는 경우가 종종 있음. 즉, group by 순서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 pk 설정은 모델링 관점에서 실물일 때, 자연키를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인조키(예를 들어, uuid) 를 사용해야 한다. - LIMIT 으로 페이징 처리 시, where 조건절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이 좋다. 2. 테스트 작성 - London school TDD 방식으로 test 작성을 하고 있는데, 잘 되지 않는다. 3. 오늘 할 일 중에 강의를 마저 들어야 할 것이 있었는데, 막판에 voc 가 터져서 다 듣지 못했다. 4. server history 관련한 개..
1. 7월 첫 주는 회사와 적당한 거리감이 필요하다. 야근 열심히 했는데 목요일에 반영이 엎어지더라. 덧없다고 느꼈다. 2. 코드숨 프로젝트 1주차는 회사 덕분에 진행조차 못했다. 괜찮다. 남은 3주가 있으니까. 3. 회사가 마냥 힘들기만 했던 것도 아니다. API 구조에 대해 제대로 목격하고 그것을 토대로 공부했다. 모든 버릴 경험은 없는 듯하다. 4. 주말에는 몸상태가 최악이었다. 주간회고도 덕분에 늦어졌다. 7월 첫 주부터는 디스코드봇에 대해 공부를 시작할 것이다. 이전부터 해보고 싶었던 소재라 기대가 된다. 아직도 내용이 막연한 것은 큰 흠이다.

5월 2일부터 6월 26일까지의 스프링 6기 코드숨 과정이 끝났다. 회사 다니면서 진행하려니 시간이 빠듯했지만, 배운 것은 많았다. 일차적으로 TDD 를 맛보았다. 코드숨을 시작하기 전에는 TDD 가 마냥 테스트를 하고 그 기반으로 코드를 작성하겠거니 단순하게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더 좋은 과정이었다. 테스트에 나타나는 오류를 기반으로 왜 오류가 나타나는지 파악하고 오류에 해당하는 코드를 수정하고 이를 통해 올바른 동작임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코드를 진행해가는 것은 매우 합리적인 행위라 생각한다. 이를 통해 왜 많은 회사들이 TDD 기반으로 코드를 작성하는지 알게 되었다. 또한 왜 그 경험 유무를 따지는지도 알게 되었다. 다음 주부터 시작하는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서 한 번 더 TDD 과정을 복습해 볼 예정..
1. 3일 간에 걸친 API 테스트를 드디어 마쳤다.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들이 계속 발생해 준 덕분에 multipart/form-data 구조 등 여러 가지 내용에 대해 공부하게 됐다. (솔직히 이 정도로 모르고 있는 줄은 생각도 못했다.) 오늘은 controller 부터 타고 들어가는 mp3 파일이 어떤 형식으로 나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코드를 짰다. 대충 짰지만 재밌는 시간이었다. API 테스트 첫 날에는 몇 개의 데이터를 잘못 받고 그 와중에는 누락된 것도 있고 해서 많이 놀란(?) 상태로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이제 와서 생각하니 그럴 일이었나 싶다. 하다 보면 괜찮아 진다는 것을 오늘도 느꼈다. 2. 코드숨 8주차 과제 Javadocs 를 작성하고 있다. 오늘은 인가, 인증 부분까지 마쳤다. (..
1) 대화를 하자. 이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해결된다는 것을 느낀 하루이다. 스트레스였던 문제거리들이 하나 둘씩 줄었다. 아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오늘은 좀 편히 잘 수 있을 것 같다. 2) Spring Rest Docs 사용해 보았다. API 를 만들어주는 기능이 신기하다. 어떤 원리일까? 항상 만들어진 Swagger 문서만 봤는데 직접 API 문서를 제작할 수도 있겠구나 싶었다. 다양한 기능을 더 파봐야겠다. 3) 클린 아키텍쳐를 구매했다. 모던 자바 인 액션 스터디가 저번주 토요일을 마지막으로 끝이 났다. 자바8이 이런 거구나를 생각하게 해준 시간이었다.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회사 코드에 활용해보려고 노력중이다.
1. 코드숨 과정이 한 주 남았다. 동시에 공부 시간은 점점 줄어든다. 23일이 마감이라 야근이 많을텐데 큰일이다. 코드숨 리뷰도 더 많이 받아야 하는데, 회사 코드도 더 빡세게 정리해야 하는데... 일정이 정리가 안된다. 스트레스가 심해 이번 주말은 통으로 쉬었다. 얼굴에 수분이 너무 부족해서 마사지 받고 왔다. 주말의 외출이 환기는 되었다. 2. 이번주는 Spring Security 를 배웠는데 솔직하게 말해서 겉핥기로 공부했다.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것저것 물어보고 싶어도 무엇이 정리가 안되었는지도 헷갈리는 상태라 아샬 님 강의 들으며 다시 공부해야 한다. 그렇게 해도 정리가 안된다면 인프런 정수원 교수님 강의라도 사서 다시 공부해야지... 회사 동료 한 분이 해당 강의를 사서 공부하고 있는데 ..
회사 API 문제로 스트레스가 심하다. 일주일 사이에 2키로나 빠졌다. 1) 궁극적으로 무엇이 해결되어야 하는지를 파악해야한다. 2) 답도 안나오는 문서를 붙잡고 있기 보다는 local DB 연동부터 진행해야겠다. 코드숨에서 spring security 공부를 시작했다. 해당 내용은 이전부터 조금씩 보고는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제대로 공부할 예정이다. 솔직히 오늘 강의 듣는 내내 머릿속은 회사 코드만 돌아다녔다. 오늘은 좀 정리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일단 빨리 출근할 예정이다. 글을 줄인다.
1. 이번 주는 정말 힘든 한 주였다. 주초부터 회식이 잡혔고, 목요일을 제외하고는 제대로 앉아 코딩하고 있을 시간이 없었다. 절대적인 시간이 없던 6주차라 회고 내용 또한 빈약하다. 2. 오늘 JWT 를 공부했다. 이전 기수 깃을 탐구하는 게 요즘 최대의 취미생활인데 그럴 틈이 없어서 내가 제대로 작성했는가에 대해서도 아리송하다. 일단 테스트는 통과했다. 토큰이 제대로 생성되고 있는 것 같다. 다시 공부하고 싶었던 내용인데 이렇게라도 짚고 넘어갈 수 있어서 좋았다. 아샬 님 강의를 통해서 다시 복습해 봐야겠다. 한 번 봤는데 아직 부족하다. 3. 절대적인 시간의 부족은 코드숨 시작하면서 각오했던 바이기도 했는데 직접 맞닥뜨리니 답답하다. 회사 관련 문제들이 여러 군데에서 터지고 있어서 머리가 아프다. ..